코딩 연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코딩 연구소

메뉴 리스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1)
    • QT|QML (27)
    • C|C++ (3)
    • Python (42)
    • Kotlin|Java (16)
    • 자료구조 (21)
    • 기록 (0)
    • Etc (12)

검색 레이어

코딩 연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Etc

  • [Naver Cloud Platform Server] 구축한 서버를 vscode 로 실행하기

    2022.03.12 by donggyu1998

  • [Naver Cloud Platform Server]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구축한 서버 실행하기

    2022.03.11 by donggyu1998

  • [Naver Cloud Platform Server]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서버 구축하기

    2022.03.11 by donggyu1998

  • [펌웨어(firmware)란 무엇인가?]

    2021.11.10 by donggyu1998

  • [DNS와 DDNS란 무엇인가?]

    2021.11.10 by donggyu1998

  • [DHCP란 무엇인가?]

    2021.11.10 by donggyu1998

  •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 ssh 허용 및 cli 모드 설정

    2021.10.05 by donggyu1998

  •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 설명/설치/환경 설정

    2021.10.05 by donggyu1998

[Naver Cloud Platform Server] 구축한 서버를 vscode 로 실행하기

💡 vscode 를 설치해주세요. https://code.visualstudio.com/download 해당 게시글에서 vscode 설치 방법은 나오지 않습니다. 💡 vscode 실행 vscode 실행 후 F1 버튼을 눌러주세요. Remote-SSH: Connect to Host 를 입력 하거나 클릭해주세요. 하단에 있는 Configure SSH Hosts 를 눌러주세요. 첫 번째 .ssh\config 를 클릭합니다. Host cloud ip HostName cloud ip Port cloud 에서 설정한 port (저는 8080 입니다.) User root 설정 완료 후 Ctrl + S 를 눌러 저장해주세요. 저장 후 F1 을 다시 누르면 방금 설정한 IP 가 표시됩니다. (클릭해주세요.) cloud ..

Etc 2022. 3. 12. 15:58

[Naver Cloud Platform Server]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구축한 서버 실행하기

이전 글 : https://donggyu.tistory.com/134 접근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1. MobaXterm 2. PuTTY 작성자는 MobaXterm 을 선호합니다. 💡 MobaXterm 으로 접근하기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여 설치해주세요. https://mobaxterm.mobatek.net/download.html Session 클릭 후 SSH 를 선택해주세요. Remote host 에는 서버 접속용 공인 IP , Port 에는 설정한 외부 포트를 입력해주세요. ( 아래 PuTTY 설명 시 내용있습니다. ) ID 와 PW 를 입력해주세요. ( Password 또한 아래 PuTTY 설명 시 내용있습니다. ) 접속한 사진입니다. 💡 PuTTY 로 접근하기 https://www.putty.or..

Etc 2022. 3. 11. 03:04

[Naver Cloud Platform Server]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서버 구축하기

다음 글 : https://donggyu.tistory.com/135 💡 홈페이지 접속 https://www.ncloud.com/intro/feature 로그인 진행 후 - 서비스 - Compute - Server 를 선택해주세요. 이용 신청 누를 경우 이렇게 안내 메시지 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제 수단 등록하기를 눌러주세요. ( 무료로 사용하더라도 등록해야합니다. ) 로그인 후 자동으로 콘솔 페이지로 이동돼서 사이트가 엄청 불편하게 느껴지더라구요. ( 링크 : https://www.ncloud.com/main/creditEvent ) 핸드폰 등록도 같이 하려 했었는데 인증 번호 버튼 클릭이 안되더라구요. 따로 등록신청 했습니다~! 등록 신청이 끝나면 크레딧 신청 이벤트 안내 메시지 창이 뜹니다. ..

Etc 2022. 3. 11. 02:21

[펌웨어(firmware)란 무엇인가?]

펌웨어(Firmware)는 장치의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구동하는 운영체제의 일종이다. (시스템의 컨트롤, 모니터링, 데이터 조작 등) 장치의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위한 작동 환경을 제공한다. 보다 단순한 장치에서는 운영체제의 역할을 한다. 펌웨어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ROM, EPROM, Flash memory에 프로그래밍 되어 디바이스에 설치되면 (설치되면 보통 장치의 수명이 다 할 때까지 수정을 가하지 않는다.)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되며, 자주 업데이트 되지는 않는다. 업데이트 된다면 버그를 없애거나 디바이스 기능을 위한 것일 것이다. 펌웨어는 프로그래밍되어 설치될때 고정되는 성격을 가지므로 하드웨어적 특성도 있지만 소프트웨어적인 성격도 있어 HW와 SW 사이의 경계선 상에 있다고 보면 될것이다. 컴퓨터에..

Etc 2021. 11. 10. 10:55

[DNS와 DDNS란 무엇인가?]

DNS란? DNS : Domain Name System의 약자 xxx.xxx.xxx.xx같은 IP 주소를 www.helloworld.com처럼 변환 혹은 역변환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DNS를 운영하는 서버를 네임서버(Name Server)라고 한다. DDNS DDNS 또는 Dynamic DNS(동적 DNS)라 쓰이며 실시간으로 DNS를 갱신하는 방식이다. 주로 도메인의 IP가 유동적인 경우 사용된다. ip가 바뀌어도 DDNS로 설정한 도메인값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접속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이용하는 포털사이트나 각 기업, 정부기관의 홈페이지 들은 해당 기업이나 기관 등이 소유한 고정 IP를 통해서 DNS 주소를 할당 받기 마련인데, 가정 단위에 있어서 고정 IP를 할당받는 것은..

Etc 2021. 11. 10. 01:12

[DHCP란 무엇인가?]

DHCP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는 자동으로 네임 서버 주소, IP 주소, 게이트웨이 주소 등을 할당해주는 프로토콜이며, 클라이언트에게 일정 기간 동적 주소 할당 프로토콜이다. DHCP지원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 부팅과정에서 DHCP서버에 IP주소를 요청하고 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DHCP 장점 PC의 수가 많거나 PC 자체 변동사항이 많은 경우 IP 설정이 자동으로 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하고, IP를 자동으로 할당해주기 때문에 IP 충돌을 막을 수 있습니다. - DHCP 단점 DHCP 서버에 의존되기 때문에 서버가 다운되면 IP 할당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DHCP 프로토콜의 원리 DHCP를 통한 IP 주소 할당은 “임대”라는 개..

Etc 2021. 11. 10. 01:06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 ssh 허용 및 cli 모드 설정

💡 라즈베리파 설치 https://donggyu.tistory.com/88 💡 [라즈베리파이 티미널 오픈] sudo raspi-config 으로 설정 창을 열어주세요. 위 창으로 넘어오게 되면 성공하신겁니다! 세번 째 들어가신 후 ssh 모드를 바꿔주시는 방법도 있지만, 아래에는 cli boot 및 한 번에 ssh 허용하는 방법입니다. 기본 설정 -> configuration으로 가주세요. 시스템 여기에서는 Raspberry Pi의 기본 시스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비밀번호 : 파이의 사용자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패스워드 디폴트 값은 raspberry 입니다.) 부트 : 라즈베리 파이 시작할 때 데스크탑 모드 or Cli (Command Line Interface)가 뜨게 할건지 설정입니다. ..

Etc 2021. 10. 5. 14:48

[라즈베리파이] 라즈베리파이 설명/설치/환경 설정

💡 라즈베리파이란? 라즈베리파이 재단에서 나온 초소형 컴퓨터라고 불리며, IoT 앱을 개발하는데 자주 사용되는 디바이스 개발 플랫폼이다. 💡 라즈베리파이로 무엇을 할 수있을까? 라즈베리파이는 초소형 컴퓨터이기 때문에 일반 컴퓨터 용으로도 쓸 수 있으며, 서버나 NAS용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Kodi를 이용한 셋톱박스 대용 등 다양하게 사용 가능합니다. 💡 [라즈베리파이 실행] Next를 눌러주세요. 모두 한국으로 설정해주세요. 라즈베리파이 비밀번호를 설정해주세요. 화면, 테두리 등 다 보인다면 Next 눌러주세요. 소프트 웨어 업데이트 전 와이파이 연결 창이 뜹니다. 와이파이 연결 후 Next를 눌러주세요. 설정이 끝났다면 이렇게 화면이 뜹니다. 하지만 글씨가 제대로 보이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Etc 2021. 10. 5. 14:38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다음
TISTORY
코딩 연구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