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연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코딩 연구소

메뉴 리스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121)
    • QT|QML (27)
    • C|C++ (3)
    • Python (42)
    • Kotlin|Java (16)
    • 자료구조 (21)
    • 기록 (0)
    • Etc (12)

검색 레이어

코딩 연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전체 글

  • [Python 업다운, Up & Down] 파이썬을 활용한 업 다운 게임

    2022.03.30 by donggyu1998

  • [Python 자료구조] 단순 삽입 정렬 ( straight insertion sort )

    2022.03.17 by donggyu1998

  • [Naver Cloud Platform Server] 구축한 서버를 vscode 로 실행하기

    2022.03.12 by donggyu1998

  • [Naver Cloud Platform Server]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구축한 서버 실행하기

    2022.03.11 by donggyu1998

  • [Naver Cloud Platform Server]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서버 구축하기

    2022.03.11 by donggyu1998

  • [Python 자료구조] 단순 선택 정렬 ( straight selection sort )

    2022.02.21 by donggyu1998

  • [Python 자료구조] 버블 정렬 (bubble sort)

    2022.02.21 by donggyu1998

  • [Python 하노이 탑] 하노이 탑

    2022.02.13 by donggyu1998

[Python 업다운, Up & Down] 파이썬을 활용한 업 다운 게임

💡 random 함수 활용하기 import random searchNumber = random.randrange(1,99) print ("찾아야 되는 값 {} ".format(searchNumber)) while searchNumber > 0: inputNumber = int(input("1~99사이의 값을 입력해주세요 : ")) if inputNumber > searchNumber: print("Down !!") elif inputNumber < searchNumber: print("Up !!") else: print("숫자를 맞추셨습니다!!") break 찾아야 되는 값은 random.randrange 함수를 호출하여, 미지의 값을 searchNumer 변수를 통해 받습니다. while loop 조건..

Python 2022. 3. 30. 02:20

[Python 자료구조] 단순 삽입 정렬 ( straight insertion sort )

💡 Straight InSertion Sort ( 단순 삽입 정렬 ) 단순 삽입 정렬은 주목한 원소보다 더 앞쪽에서 알맞은 위치로 삽입하며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선택 정렬과 비슷해 보이지만 값이 가장 작은 원소를 선택하지 않는다는 것이 다르다. 삽입이라는 말 그대로, 들어서 자기 자리에 꽂아주는 것이다. 💡 설명 두 번째 원소인 4 부터 주목하여 진행한다. 4는 6보다 앞쪽에 위치해야 하므로 맨 앞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6을 우측으로 옮기면 [그림1] 의 두 번째 처럼 4, 6, 1 ... 8 이 나오게 된다. 다음으로 세 번째 원소인 1에 주목하여 진행한다. 1은 4보다 앞쪽에 위치해야 하므로 맨 앞에 삽입한다. 이 상태에서 4와 6을 우측으로 옮기면 [그림1] 의 세 번째 처럼 1, 4, 6 ...

자료구조 2022. 3. 17. 01:37

[Naver Cloud Platform Server] 구축한 서버를 vscode 로 실행하기

💡 vscode 를 설치해주세요. https://code.visualstudio.com/download 해당 게시글에서 vscode 설치 방법은 나오지 않습니다. 💡 vscode 실행 vscode 실행 후 F1 버튼을 눌러주세요. Remote-SSH: Connect to Host 를 입력 하거나 클릭해주세요. 하단에 있는 Configure SSH Hosts 를 눌러주세요. 첫 번째 .ssh\config 를 클릭합니다. Host cloud ip HostName cloud ip Port cloud 에서 설정한 port (저는 8080 입니다.) User root 설정 완료 후 Ctrl + S 를 눌러 저장해주세요. 저장 후 F1 을 다시 누르면 방금 설정한 IP 가 표시됩니다. (클릭해주세요.) cloud ..

Etc 2022. 3. 12. 15:58

[Naver Cloud Platform Server]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구축한 서버 실행하기

이전 글 : https://donggyu.tistory.com/134 접근 방법은 두 가지입니다. 1. MobaXterm 2. PuTTY 작성자는 MobaXterm 을 선호합니다. 💡 MobaXterm 으로 접근하기 아래 블로그를 참고하여 설치해주세요. https://mobaxterm.mobatek.net/download.html Session 클릭 후 SSH 를 선택해주세요. Remote host 에는 서버 접속용 공인 IP , Port 에는 설정한 외부 포트를 입력해주세요. ( 아래 PuTTY 설명 시 내용있습니다. ) ID 와 PW 를 입력해주세요. ( Password 또한 아래 PuTTY 설명 시 내용있습니다. ) 접속한 사진입니다. 💡 PuTTY 로 접근하기 https://www.putty.or..

Etc 2022. 3. 11. 03:04

[Naver Cloud Platform Server] 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서버 구축하기

다음 글 : https://donggyu.tistory.com/135 💡 홈페이지 접속 https://www.ncloud.com/intro/feature 로그인 진행 후 - 서비스 - Compute - Server 를 선택해주세요. 이용 신청 누를 경우 이렇게 안내 메시지 창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결제 수단 등록하기를 눌러주세요. ( 무료로 사용하더라도 등록해야합니다. ) 로그인 후 자동으로 콘솔 페이지로 이동돼서 사이트가 엄청 불편하게 느껴지더라구요. ( 링크 : https://www.ncloud.com/main/creditEvent ) 핸드폰 등록도 같이 하려 했었는데 인증 번호 버튼 클릭이 안되더라구요. 따로 등록신청 했습니다~! 등록 신청이 끝나면 크레딧 신청 이벤트 안내 메시지 창이 뜹니다. ..

Etc 2022. 3. 11. 02:21

[Python 자료구조] 단순 선택 정렬 ( straight selection sort )

💡 Straight Selection Sort ( 단순 선택 정렬 ) 단순 선택 정렬은 가장 작은 원소부터 선택해 알맞은 위치로 옮기는 작업을 반복하며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 설명 가장 작은 원소 1과 4 의 위치를 변경 두 번째 작은 원소 2와 6의 위치를 변경 하며 정렬 💡 코드 def selectSort(arr): size = len(arr) for i in range(size - 1): min_idx = i for j in range(i + 1, size): print ('i=', i, 'j=',j, arr) if arr[j] < arr[min_idx]: min_idx = j arr[i], arr[min_idx] = arr[min_idx], arr[i] return arr arr = [2, 1..

자료구조 2022. 2. 21. 01:10

[Python 자료구조] 버블 정렬 (bubble sort)

💡 Bubble sort ( 버블 정렬 ) 버블 정렬은 두 원소의 대소 관계를 비교하여 필요에 따라 교환을 반복하는 알고리즘으로, 단순 교환 정렬이라고도 한다 💡 설명 오름차순으로 먼저 정렬하려고 한다. 오른쪽 끝에 있는 두 원소 7과 8 중 작은 숫자를 좌측으로, 큰 숫자를 우측에 둔다. 두 숫자는 7이 8보다 작으므로 교환할 필요가 없다. 오름차순으로 정렬 하려 했기 때문에 현재 같은 상황에서도 교환할 필요가 없다. 이렇게 반복하여 필요한 경우 교환하는 것이 버블 정렬의 기본기이다. 만약 교환해야 되는 대상이 있는 경우 5, 1 ( 4번째)를 보게 되면 1과 5가 바뀌는 경우를 볼 수 있다. 1, 6 / 1. 4 오름차순으로 정렬 한다면 1, 2, 3, 4 ... 8 까지 나와야 하기 때문에 loop..

자료구조 2022. 2. 21. 00:51

[Python 하노이 탑] 하노이 탑

💡 하노이 탑 하노이탑은 프랑스 수학자인 루카스가 1883년에 만들어 낸 문제이다. 가운데 기둥을 중심으로 이 기둥을 이용하여 왼쪽 기둥에 놓인 크기가 다른 원판을 오른쪽기둥으로 옮기는 문제로 이때 원판은 한 번씩만 옮길 수 있고 작은 원판 위에 큰 원판이 놓을 수 없다. 💡 공식 하노이 탑의 원판이 n개 일 때, 이동 횟수 공식 💡 설명 이 하노이탑 문제를 풀어내기 위해 원판이 이동해야 하는 횟수를 구하는 공식으로 하노이탑공식을 알고 있다면 굳이 직접 하노이탑퍼즐을 풀지 않아도 몇번을 이동해야 하는지 알 수 있다. 하노이탑 공식은 원판이 n개가 있을 경우 2의 n제곱 -1인데요. 만약 4개의 원판이 있을 경우 최소 이동횟수는 2의4제곱-1 16-1이 되므로 총 15번이 되는 공식이다. 💡 코드 def ..

자료구조 2022. 2. 13. 20:19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6
다음
TISTORY
코딩 연구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